|
외교부 당국자는 5일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기니·네팔·방글라데시·세네갈·스페인·앙골라·우간다에서 공관을 철수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정부는 주재국 당국에 북한이 철수 의사를 공식 통보했고, 인공기나 공관 현판을 제거했으며, 공관원들이 모두 출국하는 등 3가지 기준을 충족한 경우에 공관 철수가 완료됐다"고 언급했다.
3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하지는 않았지만 현재 철수 작업이 진행 중인 북한 공관도 있다. 최근 국내외 언론에도 보도된 콩고민주공화국 주재 대사관과 홍콩 총영사관 등이 있다.
이 중 홍콩 총영사관의 경우 현지 행정부 홈페이지상 상주공관 목록에 철수 사실이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주페루 대사관에서는 2017년 9월 북한의 6차 핵실험으로 같은 해 12월 현지 당국이 북한 외교관 전원을 추방한 이후 사실상 활동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정부는 북한이 재외공관을 철수시키는 원인으로 재정난을 꼽았다. 대북제재 강화에 따른 외화벌이 어려움 가중 등이 있어서다. 다만 북한은 공관을 대폭 줄이면서 주력 지역에 대한 집중도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러시아와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일부 공관을 신설할 수 있단 관측을 제기했다. 특히 러시아와 밀착행보를 보이는 니카라과에 공관을 세울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 당국자는 "동남아 등 지역에는 작은 공관을 폐쇄하고 그 기능과 공간을 흡수한 거점체제로 운영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