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사회의 우려에도 북한과 러시아의 초밀착 행보가 이처럼 이어지면서 북한은 우크라 전쟁 무기 지원을 둘러싼 한·미·일 등 서방과의 신경전이 당분간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6일(현지시간) 러시아 관영 매체 타스통신에 따르면 알렉산더 마체고라 북한 주재 러시아 대사는 외신매체와 인터뷰에서 "올해는 북·러 양국이 다방면으로 관계를 맺는 획기적인 한 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마체고라 대사는 "지난해 9월 양국 합의로 로드맵을 형성했다"며 "올해 더 많은 일이 이뤄지고, 인적교류도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푸틴 대통령이 방북 기간 서명할 문서 중 한 가지는 상호 여행에 관한 협정"이라며 "한반도 주변에 둘러싼 위기 고조감 원인은 전적으로 미국에서 비롯됐다"고 부연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북·러 협력이 군사를 넘어 당장 경제 분야로 확대되는 형국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미 뉴욕타임스(NYT)는 유엔 대북 제재에도 불구하고 자국 금융기관에 동결된 북한 자금 3000만 달러(약 400억원) 중 900만 달러 인출을 허용했다고 보도했다. 미 당국은 북한이 이같은 자금을 원유 구입에 소비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관련, 박병환 유라시아전략연구소장(전 주러시아 한국대사관 경제공사)는 "푸틴 대통령의 방북은 러시아 한반도 정책이 남북한 등거리 외교로 바뀐 걸 의미한다"며 "한반도 문제 논의와 대러 관계에 있어 지나치게 미국을 의식한 점 등도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도 "러시아는 기본적으로 한국을 경제협력 파트너로 중시하고 있고, 남북 양측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싶어한다"며 "한국이 더 이상 러시아에 대해 적대적인 태도를 취하지 않도록 유도하는 의미도 있다"고 설명했다. 대륙 사이에 낀 한반도의 중요성을 러시아도 인식하고 있고, 우리 정부 역시 교역 대상국 가운데 12위인 러시아를 끊을 수 없는 상황을 반영한 셈이다.
이런 가운데 외교가에서는 중국이 4월 한국 총선 이후 한반도 관리 차원에서 한·일·중 정상회의 날짜 조율에 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우리 정부가 추진중인 한·일·중 정상회의와 핵·미사일 고도화에 매진하는 북한에 중국의 '건설적 역할'을 추가할 필요성에 정부 입장에서는 중국과 대화 확대에 나설 것이라는 얘기다.
최근 미·중 관계가 '충돌 방지 및 관리' 모드로 돌입한 상황에서 북러의 밀착은 중국에게도 부담이 클 것이라는 것이다. 북한으로 한반도 긴장 고조가 자신들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단 인식을 하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