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처럼 물가상승률이 높아진 것은 과일값의 고행행진 탓이 컸다. 사과에 이어 귤까지 가격이 급등하면서 신선과일 물가는 지난달 41.2%나 뛰었다. 1991년9월(43.9%) 이후 32년여 만의 최고 상승률이다. 사과는 1월에 56.8% 오른 데 이어 2월에도 71% 급등했다. 사과 가격이 급등한 주원인은 이상기온으로 인한 수확량 감소다. 봄철 저온 피해로 착과 수가 줄어든 데다 여름철 집중 호우, 수확기 탄저병 발생 등 악재가 겹치면서 지난해 생산량이 30% 급감했다. 사과와 배는 국내에 병해충이 유입될 수 있다는 이유로 정부가 수입을 금지하고 있는 품목이다. 이에 따라 올해 수확철까지는 가격 고공행진이 불가피해 보인다. 사과가 금값이 되자 대체재인 다른 과일 가격도 크게 올랐다. 겨울철 수요가 늘어나는 귤은 1월 39.8% 오른 데 이어 노지 생산량 감소로 지난달에는 78.1% 급등했다. 배(61.1%), 딸기(23.3%) 등도 큰 폭 상승했다.
정부는 올해 소비자 물가상승률을 2.6%로 전망하고 있는데 2월에 이미 관리목표를 뛰어넘었다. 설 명절이 끼어있었다는 특수성을 감안해도 상승세가 심상찮다. 정부는 3~4월 농축수산물 할인지원에 역대 최대 수준인 600억원을 투입해 사과, 배 등 체감가격 상승률을 최대 40~50%대로 떨어뜨린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직수입 과일이 오렌지, 바나나 등으로 제한적이어서 국산과일 수요를 얼마나 대체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최근 상승세로 돌아선 국제유가도 물가에 부담요인이다. 정부는 이달 말 종료 예정이던 유류세 인하조치를 오는 4월까지 연장하기로 했지만 언 발에 오줌 누기일 뿐이다. 물가상승은 특히 저소득 서민가계에 치명적이다. 그런 만큼 민생대책의 최우선 순위를 물가안정에 두고 농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등 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세우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