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중 외교장관 간 대면 회담이 성사된다면 지난해 11월 부산에서 열린 한·일·중 외교장관 회의 이후 약 6개월 만이고, 외교부 장관의 중국 방문은 2022년 8월 한-중 수교 60주년 계기로 박진 전 장관이 산둥성 칭다오를 방문한 이후 약 1년9개월 만이다.
29일 외교가에 따르면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한·일·중 정상회의가 최종 조율 이전 별도로 중국을 방문해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과 회담을 추진하고 있다. 왕부장이 지난 2월 6일 조 장관 취임 후 상견례를 겸한 첫 통화에서 중국 방문을 초청한 데 대한 후속 조치로도 볼 수 있다.
외교부 당국자도 "한-중 양국은 그간 고위급 교류의 중요성을 인지하며 긴밀히 소통해왔다"며 "(조 장관과 왕이 부장 회담은) 현재 구체적 일정을 협의하고 있는 단계"라고 언급했다.
조 장관도 그간 공식 석상을 통해 "중국과 갈등 요소가 분명 존재 하지만 협력 요소가 더 많다"며 "갈등보다 협력 요소에 초점을 맞춰 경제와 인적 교류 등 분야부터 성과를 쌓아가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정부가 중국 고위 당국자 간 만남을 서두르는 요인은 다음달 26~27일 최종 조율 중인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 전 조 장관이 중국을 찾는 게 시기상 적절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5월 한 달 사이 한·중 외교장관회의에 이어 정상급 소통까지 이뤄질 수 있다는 의미다.
일각에서는 올해 3월 중국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4월 한국 총선 등 양국의 국내 정치 일정이 마무리돼 관계 논의를 본격화할 여건이 마련됐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한·중 간 고위급 소통도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동력을 잃었던 양국 관계에 전환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중·일 정상회의는 지난 2008년부터 '일본→중국→한국' 순으로 의장국을 번갈아 맡으며 연례적으로 개최해 왔다. 그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의 전 세계적 유행 등의 영향으로 2019년 중국 청두 회의를 끝으로 중단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