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자흐스탄 일간 텡그리뉴스지는 6일(현지시간) 베릭 아실로프 카자흐스탄 검찰총장이 이날 자신의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CCTV를 통한 AI 안면인식시스템을 도입한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이날 아실로프 총장은 "올해 8월부터 IT개발과 AI요소를 연결해 CCTV를 통한 수배좌 및 범죄자, 채무자 그리고 실종자 등의 신원파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알마티 시와 아티라우 시에 성공적으로 도입했다"며 "도입 이틀만에 수배·도주 중인 2명의 용의자를 발견했고 수배자 53명에 대한 신원도 신속히 파악한 후 구속 조치했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전국 수배자는 9000명이 넘는데 노화 등으로 외모가 크게 바뀐 사람도 AI 기술을 이용해 찾을 수 있었다"며 "AI 안면인식 시스템을 전 지역에 도입하라는 행정지시를 내렸다"고 덧붙였다.
현재 카자흐스탄을 비롯한 대부분의 중앙아시아 국가에는 AI와 관련된 규제법안이 따로 없다. 하지만 올해 초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은 행정시스템에 AI 기술을 도입하는 것에 크게 관심을 보이면서 해당 법안 및 시행 규칙 설정 등을 대통령실 차원에서 진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지난해 2월 알마티시에서 개최된 디지털 포럼에 참석한 아클벡 자라포프 키르기스스탄 총리가 자신의 연설문 중 일부분을 챗GPT를 통해 작성한 사실이 화제가 된 이후 현재 카자흐스탄 여러 부처 장관들은 국무회의 및 대정부질의에서 챗GPT를 폭넓게 활용하고 있다.
올자스 벡테노프 카자흐스탄 총리는 지난 7월 국무회의에서 "AI시스템 구현을 위해 정부행정시스템, 석유 및 가스 산업, 광업, 에너지, 운송, 물류, 수자원 및 농업 산업에 먼저 적용하고 이를 위한 적절한 인프라 구축, 최신 데이터 처리 센터, 슈퍼 컴퓨터 도입 및 국가 AI플랫폼 등의 경제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카자흐스탄 내부에서는 이 같은 정부 방침에 대한 찬반 논란도 거세게 일고 있다. 무엇보다 AI가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할 것이라는 우려와 개인정보 및 인권침해에 대한 중국 사례를 예로 들면서 반대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은 공감을 얻고 있다.
하지만 한편에서는 AI 기술이 공공안전과 카자흐스탄 사회전반에 퍼진 부패 문제를 완화시켜줄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의견도 만만찮게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