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질 일자리 창출 '역동경제' 주력
|
최 부총리는 8일 KBS 일요진단 방송에 출연해 "2022년, 2023년 벌어진 대내외 복합위기 상황은 벗어났지만 후유증의 일환으로 고물가나 고금리, 민생의 어려움은 지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 부총리는 "수출 회복에 따른 내수로의 온기 확산 속도가 당초 정부 판단보다 늦어지고 있다"며 현재 경기 상황에 대해 취약한 부문으로 내구재 등 재화소비, 건설부문을 꼽았다. 다만 하반기부턴 개선 조짐이 뚜렷해질 것이라는 게 정부 판단이다. 최 부총리는 "수출이 좋아지면 기업들이 실적이 좋아지니까 투자가 늘고, 투자가 늘면 대부분 소비로 영향을 주게 돼있는데 설비투자가 최근 두달정도 플러스를 보였다"며 "올해 상반기 중 2/4분기 실질임금과 실질소득이 플러스(+) 전환됐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많은 기관들이 속도에 차이는 있지만 올해 상반기보단 하반기가, 하반기보단 내년이 소비증가율이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며 "정부는 이 속도를 높이는 데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물가안정기조를 정착시키고, 내년도 예산안에선 전 국민 25만원 지원과 같은 보편적 지원보단 당장 소득보조가 필요한 저소득층 어르신, 장애인, 청년들에 타깃해 집중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먹거리 물가 등 서민 체감물가 관리를 위해 일일 품목관리에 나섰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어떤 품목이 가격이 튀면 공급관리로 대처하고 있고, 어떤 건 오래걸리는 게 있는데 예컨대 공급에 한 달 이상 소요되는 시금치의 경우는 대체재를 소비할 수 있도록 국민에 안내하고 있다"며 "농산물 물가를 높이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인프라를 확충하는 노력, 유통구조 개선 노력도 함께 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최근 자영업자의 어려움에 대해서도 "코로나19 전으로 소상공인 등의 빚이 수백조 높아졌다"며 "고금리로 빚의 굴레 속에서 매출은 줄어든 측면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수요에 맞게 지원하기 위한 종합대책도 발표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앞서 소상공인 종합대책으로 업종전환 지원과 함께 채무경감, 경쟁력 강화 방안 등을 발표한 바 있다.
최 부총리는 "미래세대인 청년들이 희망을 가질 수 있게 우리 경제가 지속적으로 좋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역동성을 갖출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