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운동 당시 민족대표 33명 중 한 명이었던 위창 오세창(1864∼1953)은 근대 문화·예술에도 큰 발자취를 남겼다. 금석학자이자 서예가, 전각가이기도 했던 오세창은 한국 회화사를 선별해 엮은 화첩 '근역화휘'(槿域畵彙)를 남긴 것으로 유명하다. 사재를 털어 우리 문화재를 지켜낸 간송 전형필의 스승이었던 오세창은 간송이 살 작품을 감식하고 작품에 발문 등 남겨 수장 내력 등을 파악할 수 있게 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특히 간송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던 '근역화휘'가 1종류가 아닌 3종류라는 점이 처음으로 공개된다. 그간 '근역화휘'는 서울대박물관에 1종류, 간송미술관에 1종류 등 총 2종류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번 전시를 통해 간송미술관에 3종류의 '근역화휘'가 있다는 사실과 그 구체적인 내용이 처음 공개된다.
간송미술관에는 각각 7권과 1권, 3권으로 이뤄진 '근역화휘'가 있다. 이 중 7권으로 이뤄진 '근역화휘'는 고려시대부터 근대기까지 글씨와 그림을 정리해 1916년 간행됐고, 1권짜리는 오세창이 살았던 당시의 화가들 작품을 묶어 이듬해인 1917년 일종의 증보판 형식으로 간행됐다. 나머지 3권짜리는 1920년 이후 오세창이 경성의 수장가였던 김용진의 서화 수장품을 입수하면서 꾸며진 것으로 보인다.
전시에는 근역화휘에 수록된 작품 중 39건 46점이 나왔다. 고려 제31대 공민왕이 섬세하고 꼼꼼하게 양을 그려낸 '양도'(羊圖), 근대 서화가 이한복의 '성재수간'(聲在樹間) 등 고려부터 근대까지 서화가 작품들을 볼 수 있다. 오세창이 간송 전형필에게 증정한 서화와 인장도 함께 전시된다. 이 중 조선 선조와 인목황후의 첫째 딸인 정명공주가 쓴 글씨 '화정'(華政)은 조선의 여성이 남긴 서예 대작이다. 전시는 12월 1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