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창간 19주년 기획] 길어지는 청년 구직 기간… 대·중기 임금 격차 줄여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pho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41112010005540

글자크기

닫기

김남형 기자

승인 : 2024. 11. 11. 18:05

청년 옥죄는 노동시장 '이중구조'
정규직-비정규직 임금 격차 175만원
대기업·공공부문 노조 탓 문제 심화
치열한 구직 경쟁과 높은 취업 기준을 충족하는 과정에서 청년들은 결혼과 출산에 대한 여유와 동기를 잃고 있다. '저출생' 해법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임금·복지·고용 안정성 격차를 줄여야 한다는 제언이 나오는 이유다.

11일 통계청의 '2024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에 따르면 올 6~8월 기준 월평균 정규직 임금은 379만6000원인데 비해, 비정규직 임금은 204만8000원으로 174만8000원 차이가 났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임금 차이는 2018년(136만5000원)부터 7년 연속 격차를 벌리고 있다.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 격차는 더욱 커져 지난해 300인 이상 대기업 정규직의 월급여액은 511만6000원으로, 300인 미만 중소기업 정규직(351만1000원)보다 약 1.45배 많다.

이 같은 노동시장 내 고착된 '이중구조'는 청년들을 더욱 옥죄고 있다. 중소기업이나 비정규직으로 취업하면 상층 노동시장으로 이직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고 처음부터 대기업에 취업하고자 구직 기간을 늘리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탓에 한국의 초혼 연령은 남성과 여성이 각각 2013년 32.2세와 29.6세에서 2023년 34.0세와 31.5세로 늦춰졌다.

이에 사회·교육·노동 등 각계 석학들과 전문가들은 노동시장 '이중구조' 문제를 해소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윤태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노동격차가 커지면서 수도권-비수도권 대학 격차가 커졌다"며 "대학들이 취업을 위해 구조조정을 하고 학생들도 취업을 위해 대학을 오니 전공 간 격차 문제도 생기면서 대학교육이 균형을 잃은 것도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대기업과 공공부문에 쏠린 노동조합 지형이 이중구조 문제를 심화하고 있다는 지적도 상당하다. 김덕호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상임위원은 "300인 이상 사업장의 노조 조직률이 46%고 공기업이 70% 정도인데, 100인 미만 사업장의 노조 조직률은 1.6%에 그친다. 중소기업은 노조가 거의 없다는 이야기"라며 "노조가 있는 대기업과 노조가 없는 중소기업 간 월평균 임금은 2.7배, 근속연수는 5.9배 차이가 났다"고 지적했다.
김남형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