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해군, 함대지 해성-2·잠대지 해성-3 미사일 배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photo.asiatoday.co.kr/kn/view.php?key=20150322010013247

글자크기

닫기

김종원 기자

승인 : 2015. 03. 23. 08:20

[천안함 5주기, 심대한 북한 위협] 우리 군 최첨단 해상·수중전력 집중 보강, 2300톤급 차기호위함 속속 교체, 해안포 잡는 스파이크 미사일 전력화 완료
해군, 동해상 실사격훈련
해군 1함대사령부 해상전투단이 지난해 강원도 동해상에서 열린 실사격 훈련에서 유도탄 고속함 박동진함이 함대함 유도탄 해성을 발사하고 있다. / 사진공동취재단
천안함 사건이 일어난 지 5년의 세월이 흘렀지만 우리 군의 상처는 아직도 아물지 않고 있다. 특히 천안함 생존 장병 중에는 32명이 여전히 군 복무를 하고 있고 26명만이 전역했다. 해군은 ‘천안함을 기억하라’는 절치부심 구호 아래 적을 즉각 응징할 수 있는 군사대비태세를 갖춰 나가고 있다.

무엇보다 최첨단 해상·수중 전력 무기를 집중 보강하고 있다. 한국형 구축함과 214급(1800톤급)에 각각 함대지(해성-2), 잠대지(해성-3) 미사일을 배치했다. 이들 미사일은 사거리 1000㎞에 이르는 순항미사일이다. 적 종심지역까지 정확히 원거리에서 타격할 수는 최첨단 무기체계다.

오는 2020년대에 모두 9척이 운용될 3000톤급 잠수함이 건조되면 수직발사대에서 잠대지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 천안함 사건 이후 연안방어 능력 보강 차원에서 기존 1500톤급 호위함과 1000톤급 초계함을 2300톤급 차기호위함으로 교체 중이다.

2013년 1월 차기호위함 1번함인 인천함 인수에 이어 2020년까지 20여척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 함정은 신형 음파탐지기(소나)와 어뢰음향대항체계(TACM)를 장착하고 해상작전 헬기를 탑재하는 등 대잠수함 작전 능력이 대폭 향상됐다. 유도탄고속함은 2009년 6월 작전 배치된 1번함인 윤영하함(440톤급)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18번함인 이병철함이 건조돼 동·서·남해에 실전 배치됐다.
포격전 당시 유일한 대응수단이었던 K-9 자주포(사거리 40㎞)의 문수는 2∼3배 늘었다. 다연장 로켓, 신형 대포병레이더(ARTHUR), 코브라 공격헬기, K-10 탄약운반차량 등도 서북도서에 신규 혹은 추가 배치됐다. 북한의 해안포를 정밀 타격할 수 있는 스파이크 미사일도 전력화가 완료됐다.

구축함에는 폭뢰를 추가 장착해 대잠 공격 능력을 강화했다. 초계함에는 대잠관(중위) 직책을 새로 편성했다. 1·2·3함대사령부 예하에 준장이 지휘하는 해상 전투단을 창설해 해상작전과 교육훈련을 함께 하는 통합 지휘체계를 갖췄다.

해군은 불시에 함정 긴급 출항과 해상기동훈련을 야간·휴일 고려하지 않고 실시하고 있다. 출동 함정에 대해서는 해군작전사령부와 함대사령부 차원에서 대잠수함, 대유도탄 상황 등을 불시에 부여해 함정 대응 능력을 숙달하고 있다.

해군 관계자는 “적 잠수함 탐지 임무를 수행하는 전 작전부대 음파탐지사를 포함한 대위 이하 장병을 대상으로 함대와 작전사 전투기량 경연대회를 연 1회 실시 중”이라고 말했다.

특히 우리 군이 아직도 북한의 잠수함을 잡는 대잠능력 면에서 좀더 전력 보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제2의 천안함 사건이 일어나지 않기 위해서는 하루 빨리 잠수함과 대잠 수상함, 대잠 항공기 전력을 대폭 보강해야 한다는 것이다. 북한의 잠수함 침투 징후를 정확히 포착해 낼 수 있도록 육·해·공군과 한·미 연합 정보 자산을 활용한 감시·정찰 시스템 보완이 시급하다.

우리 군은 천안함 사건 이후 북한의 잠수함이 자주 다닐 것으로 추정되는 서북 도서의 잠수함 주 길목인 ‘초크 포인트’ 해저에 음향탐지 장비 ‘소나’를 깔아 감시 체계를 보완한 것으로 전해졌다. 근거리에서 새떼를 식별할 수 있는 탐지 레이더 성능도 개선한 것으로 알려졌다.

무엇보다 북한의 잠수함 세력이 자유롭게 기동하며 우리 전력을 타격할 수 있게 가만히 놔둬선 안 된다는 지적이다.

국내 최고 잠수함 전문가인 문근식 전 해군 잠수함 전대장은 “북한 잠수함이 언제 어디서 얼마만큼 움직이는지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면서 “이것은 해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육·해·공군과 한미연합 정보 자산이 함께 적의 활동 징후를 정확히 포착해 내고 대잠 전력을 증파할 수 있는 감시시스템을 가동해야 한다”고 했다.

물 속에 있는 소나 같은 수중감시 센서가 잠수함을 잡을 수 있는 확률은 20%밖에 되지 않는다. 80% 이상은 육안에 의존한다. 그만큼 대잠 초계기 항공 감시 전력이 절실한 실정이다.

북한의 디젤 추진 잠수함들은 배터리가 방전되면 스노클(수중통기장치)로 충전을 해야 하기 때문에 계속 물 속에만 있을 수 없다. 따라서 낮에 멀리 볼 수 있고, 밤에는 적외선 탐지와 아이서(ISAR) 장비를 이용할 수 있는 대잠 초계기를 늘려야 한다.

일본은 대잠초계기 P-3C가 100대가 넘는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우리나라는 16대를 보유하고 있다.

잠수함 전력 확충도 시급하다. 북한은 작은 잠수정까지 포함해 73척의 잠수함 전력을 갖고 있다. 우리는 12척을 갖고 있으며 2013년부터 해마다 1척씩 늘려 18척 체제로 가고 있다.

한 해상 전문가는 “잠수함을 잡기 위해서는 잠수함을 보다 확충하고 대잠 성능이 뛰어난 장비를 갖춘 수상함을 건조해 배치하는 것이 시급하다”면서 “북한이 NLL을 침투해 수상전투를 하거나 연평도 포격 같은 도발을 할 수 있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수중에서의 잠수함 침투나 사이버테러에도 적극 대비해야 한다”고 했다.

잠수함이나 사이버전 테러는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북한이 언제든지 ‘오리발’을 내밀 수 있는 도발이라는 것이다.

서양원 전 해군 참모차장은 “천안함 사건 이후 서북도서에 대한 대잠 태세나 감시·경비체계를 강화한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라면서도 “하지만 대잠 무기체계인 항공기, 음탐장비 소나 등이 실질적인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해협에 맞도록 디자인하고 시스템을 개발해 탑재하거나 설치해야 하는데 지금은 너무 수박 겉핥기식인 것 같다”고 지적했다.

한 전문가는 “소나 감시장비 성능을 개선하고 대잠 작전에 유리하도록 경비 작전 방법을 개선한 것으로 안다”면서 “우리 군이 지금까지는 수세적인 준비를 했다면 앞으로는 적 잠수함을 먼저 탐지하고 공격할 수 있도록 공세적인 작전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우리 군 관계자들은 천안함 사건 이후 우리 국민과 군이 잠수함 전력이 얼마나 위력적이고 큰 파괴력을 지녔는지 깨달은 것이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로 보고 있다.

우리 군은 현재 북한의 원산과 마양도 잠수함 기지도 충분히 봉쇄하고 천안함 때보다 10배 이상 타격을 줄 수 있는 잠수함 능력과 전력을 갖추고 있지만 평화를 위해 존재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김종원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