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박근혜 대통령 ‘북한 도발 사전 억지’ 유엔외교 통할까?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photo.asiatoday.co.kr/kn/view.php?key=20150929010017763

글자크기

닫기

김종원 기자

승인 : 2015. 09. 29. 18:52

유엔 70차 정상외교 통해 북한 10월 도발 '사전 억제 외교' 주력...북한 당 창건 70주년 내달 10일 전후 인공위성·로켓·미사일 발사·핵실험 유력설...북한 도발 억제·비핵화·통일 국제사회 '지지' 큰 성과
박 대통령 다양한 연설액션
박근혜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0차 유엔 총회 기조연설에서 북한이 하루 빨리 핵을 내려 놓고 한반도 통일을 통해 세계 평화와 번영에 기여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지난해 제69차 유엔 총회에서 이미 기조연설을 했던 박 대통령은 연설 도중 종종 미소를 띠었으며 마이크 위치를 바로잡기도 하며 강조하고 싶은 부분에서는 다양한 손 제스처로 다소 여유 있는 모습을 보였다. / 연합
박근혜 대통령의 유엔 정상외교 키워드는 북한 도발, 한반도 통일, 새마을운동 3가지였다. 박 대통령은 지난 25일부터 나흘 간 국제사회의 북한 추가 도발 억지 공조, 한반도 평화통일에 대한 지지, 새마을운동 지구촌 확산이라는 적지 않은 외교적 성과를 거뒀다.

박 대통령은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이번 제70차 유엔(UN) 총회와 유엔 개발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광복 70주년과 분단 70년을 맞은 한국의 위상을 다시 한번 드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유엔 창설 70주년을 맞아 열린 올해 유엔 총회에는 미국과 중국, 일본, 러시아 등 한반도 주변 강국을 비롯해 전 세계 160여개국 정상급 인사들이 총결집했다. 박 대통령은 이같은 유엔 다자외교 무대를 통해 유엔의 원조로 모범적인 중견국으로서 도약한 한국의 위상을 다시 한번 국제사회에 각인시키고 한반도 안보와 세계 평화·번영에 기여할 것이라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무엇보다 박 대통령은 뉴욕 현지에서 북한 도발이 한반도와 동북아 안보, 더 나아가 세계 평화와 번영에도 위배된다는 도발 억지 메시지 관리에 주력했다. 다음 달 10일 노동당 창건 70주년을 계기로 인공 위성과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 추가 핵실험까지 공언하고 있는 북한의 도발 의지와 실제 도발 감행을 어느 정도 억지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박 대통령은 지난 26일 미국 주요 외교·한반도 문제 관련 싱크탱크 대표와 주요 인사 만찬 간담회에서도 북한 도발 억지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북한 도발에 대한 철저하고 단호한 대응, 확고한 한미동맹의 역할 제고 등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강조하면서 북한을 압박했다. 전 세계 대표단이 모인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도 북한 추가 도발에 대해 공개적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박 대통령은 이번 유엔 정상외교를 통해 한반도 통일에 대한 확고한 비전도 국제사회에 제시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의 면담·만찬, 미국 싱크탱크와의 만찬간담회, 유엔 총회 기조연설에서 한반도 통일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한반도 통일이 북핵 문제의 근본적 해결책이며 동북아와 세계 평화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달 초 중국 전승절 외교를 통해 한반도 통일에 대한 실질적인 국제사회 여론을 형성해 나가고 있는 박 대통령은 이번 유엔 정상외교를 통해 국제사회의 관심과 지지를 촉구했다.

박 대통령은 유엔 총회 기조 연설에서도 “통일된 한반도를 전 세계가 축하해 주는 날이 하루속히 오기를 간절히 꿈꾸고 있다”면서 “지구상에 남은 마지막 냉전의 잔재인 한반도 분단 70년의 역사를 끝내는 것은 곧 세계평화에 기여하는 일이 될 것”이라며 국제사회의 협력을 요청했다. 박 대통령은 “평화통일을 이룬 한반도는 핵무기가 없고 인권이 보장되는 번영된 민주국가가 될 것”이라면서 “통일 한반도는 지구촌 평화의 상징이자 새로운 성장엔진으로 동북아는 물론 세계의 평화와 번영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또 박 대통령은 한국 새마을운동의 글로벌 버전인 신(新) 농촌개발 패러다임을 유엔 정상외교 무대를 통해 제시했다. 유엔 개발정상회의 부대행사로 새마을운동 고위급 특별행사가 열려 한국의 성공적인 농촌개발 경험을 국제사회가 인정하고 빈곤국·개도국 대상으로 새로운 농촌개발 프로그램으로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의미가 있다.

박 대통령의 부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 한국 농촌 발전에 크게 기여했던 새마을운동이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 일부 국가에서 농촌개발 모델로 각광을 받은데 이어 이제 글로벌 농촌개발 프로그램으로 뻗어나가는 도약의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청와대에 따르면 한국국제협력단은 이미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네팔, 르완다, 우간다 등 7개 나라 420개 마을의 62만명 주민을 대상으로 스마트 새마을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정부는 앞으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독립국가연합(CIS) 지역으로 새마을운동을 확산하고, 새마을사업 평가 결과의 국제저널 게재와 세미나 개최, 캄보디아 새마을농촌개발 전문대학 설립 등 개도국 새마을교육체계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종원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