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무탄소경영] 삼성도 어려운 ‘RE100’… 비용·기술·인프라 과제 산더미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pho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30817010008943

글자크기

닫기

최원영 기자 | 정문경 기자 | 최지현 기자

승인 : 2023. 08. 18. 06:00

2050년까지 직간접 탄소중립 달성 선언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점차 높여
사업장 100% 재생에너지 발전 불투명
CF100 추진 목소리 커져… 정책 시급
basic_2021
basic_2021
대한민국이 무탄소에너지 100%로 사업장을 돌리자는 소위 'CF100' 드라이브에 나선 배경엔 1등기업 삼성전자의 애로가 있다. 전세계 IT기업 중 전력 사용량 1위, 국내 기업 중 가장 많은 전기를 쓰는 기업이 바로 삼성전자다. 삼성이 끌고가고 있는 반도체산업은 우리나라 전체 수출의 20%를 상회하는 우리 경제의 기둥이라 할 만 하다. 그런 삼성전자가 전세계 가장 영향력 있는 기후환경 이니셔티브인 'RE100' 달성이 어렵다는 대목이 핵심이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정부와 대한상공회의소가 주도하는 가칭 'CFE포럼'의 핵심플레이어다. 삼성전자는 2022년 9월 신환경경영전략을 발표하고 2030년까지 환경경영 과제에 7조원 투자, 2050년까지 직간접(Scope1·2) 탄소중립 달성하겠다고 선언한 상태이지만 이를 풀어내는 데에는 애로가 많다.

일각에선 삼성을 위해서라도 RE100 보다는 CF100을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진다. 삼성전자의 반도체부문 RE100 달성이 워낙 어려워서다. 세계 최대 반도체 단지를 운영하는 삼성전자는 풍부하면서도 가장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필수다. 해외 기지를 건설할 때 가장 큰 고려사항 중 하나이기도 하다.

우리나라는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2021년 7.5%로 OECD 평균(30%)의 1/4 수준에 불과하고 총 발전량은 연내 44TWh를 맞춘다는 계획이지만, 제도가 미비해 해외에서 제대로 인정 받을 수 있을 지도 미지수다. 국내 대표기업들 사업장이 요구하는 재생에너지 발전량도 채 못 맞춘다는 게 골자다.
전문가들은 최근 있었던 삼성전자의 RE100 선언이 그 자체만으로 우리나라 재생에너지 공급량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고 봤다. 김태한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책임연구원은 "삼성전자의 재생에너지 관련 발표 만으로 시장에선 재생에너지에 대한 대규모 추가 수요가 있다는 것을 확실히 인식했고, 이 시그널의 강도에 따라 공급이 따라오는, 소위 시장 시스템이 작동할 것"이라고 했다.

삼성전자는 수원에 1.9MW 규모, 기흥에 1.5MW, 평택에 0.4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이 설치 돼 있다. 해외엔 인도 첸나이, 노이다에 각종 친환경 발전이 이뤄지고 있다. 2022년 재생에너지 전환율 31%로, 2021년 대비 1년만에 11%p 늘었다. 특히나 베트남·인도·브라질 DX부문 사업장은 100% 재생에너지 달성 했다.

삼성전기는 수원사업장에 100kW 규모 태양광 발전시설, 내년 100~120MWh 재생에너지를 확보 중이다. 필리핀 법인 지난해 6730MWh 재생에너지를 구매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전체 사업장 에너지 사용량 1578GWh 중 수력으로 1148.2GWh를 감당 중이다.

경쟁사는 어떨까. 대만의 TSMC는 삼성보다 2년 앞선 2020년 7월 RE100을 선언했다. 전세계 반도체 기업 중 최초 가입으로 기록됐다. 대만 정부는 TSMC가 덴마크 풍력기업 오스테드와 손잡고 해상풍력 발전소로부터 20년동안 전력구매계약(PPA) 체결하는데 무려 송전망 이용료의 90%를 대주기로 한 상태다. 2019년 전력법으로 구글이 데이터센터 남쪽 100km에 양식장을 이용한 태양광 시설을 세워 장기 고정가격으로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기도 했다. 대만은 오는 2025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전체 발전량의 20%까지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그럼 삼성전자는 선언적인 RE100 만으로 100% 사업장 가동이 가능할까. 삼성전자의 재생에너지 공급처로는 서남해 해상풍력단지가 거론된다. 관련해 지분을 투자하거나 추가 사업을 모색할 수 있다는 식이다. 이에 따르면 2020년 이후 정부주도 대규모 재생에너지 사업은 발전 공기업 위주 투자가 이어지고 있는 게 현실이다. 재생에너지 수급이 필요한 민간기업의 직접투자 기회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커졌고 정부도 최근 공공주도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에 민간기업 참여를 확대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

그럼에도 간헐적이고 안정성이 떨어지는 재생에너지만으로 삼성의 사업장을 100% 돌리기는 어려울 거란 계산이 나온다. 박종배 건국대 전기전자공학과 교수는 "기술적으로 아직 불가한 2023년에서부터 2040년 사이에는 원전·수소 등 저렴한 무탄소에너지 징검다리가 필요하다"면서 "때문에 기업들도 잘 생각을 해야한다. 단순 압박 때문에 RE100 선언은 하고 있는데 현실적으로 충족 가능한 부분과 매치해야한다"고 했다. 박 교수는 "어차피 RE100도 CF100도 자발적인 부분"이라면서 "각 기업들이 전략적이고 현명한 포지션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그는 또 "이 포지션은 너무 성급한, 관련되지 않은 기업들이 내부의 ESG 경영전략으로 선언하는 부분들이 문제가 될 수 있다"고도 했다.

재계 관계자는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량에 비춰볼 때 삼성전자의 핵심 사업장이 해외로 이전하지 않는 한 RE100 실현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가 미는 CF100이 아직 실체가 마련되지 않았지만 국내 사업장을 두고 있는 기업으로선 모두가 관심 있게 지켜볼 수 밖에 없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또 "RE100을 달성하려면 삼성의 반도체를 비롯한 핵심 상품의 가격이 오를 수 밖에 없고, 기술적으로도 아직 가야 할 길이 멀다"면서 "정부가 빠르게 CF100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고 했다.
최원영 기자
정문경 기자
최지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