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G7 정상회의 공동성명, 대만 문제 포함, 바이든-스가 ‘작전회의’ 산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photo.asiatoday.co.kr/kn/view.php?key=20210620010011352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1. 06. 20. 09:19

닛케이 "바이든-스가, G7 공동성명에 대만 문제 포함, 유럽 정상 설득"
"바이든-스가, 대만 등 중국 의제 대화 거듭"
스가 "작전회의 같았다"
중국 '일대일로' 대항 인프라 구상 미 제안 명칭 '그린 일대일로'
G7  정상회의
문재인 대통령과 주요 7개국(G7) 정상들이 지난 13일(현지시간) 영국 콘월 카비스베이 양자회담장 앞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주요 7개국(G7) 정상들이 지난 13일(현지시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대만 문제를 언급한 것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가 ‘작전 회의’에서 유럽 회원국 정상들을 설득해 이뤄진 것이라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닛케이)이 20일 보도했다.

닛케이는 미국과 일본 정부가 중국 억제의 국제적 논의를 주도하고 있다며 이같이 전하고, 지난 11일 개막, 13일까지 영국 콘월에서 진행된 G7 정상회의 기간 바이든 대통령과 스가 총리가 개별적으로 이야기하는 장면이 지속됐다고 밝혔다.

스가 총리는 12일 G7 회의장이 있는 한 호텔 방에서 “미·일 정상회담의 성과를 근거해 힘 있는 메시지를 내야 한다”고 했고, 바이든 대통령은 “함께 논의를 주도하자”고 화답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닛케이는 두 정상은 일련의 회의나 양자 회담에서 대화를 거듭했는데 그 중심은 대만 등 중국 관련 의제였다며 스가 총리가 G7 정상회의 폐막 후 기자단에게 “작전 회의 같았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스가 총리와 동행했던 일본 정부 고위관리는 공동성명 발표 마지막까지 유럽과의 협의가 계속됐다고 말했다.

미·일 정상이 집착한 것은 G7에서의 대중 억제 의식 심기였고, 미·일 공동성명에서 반세기 만에 명시한 대만해협 평화와 안정의 중요성을 G7 공동성명에 포함시키려는 의도였다고 이 신문은 설명했다.

G7 정상들은 공동성명에서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양안(중국과 대만)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촉구한다’고 밝혔었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과 스가 총리는 4월 16일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52년 만에 처음으로 대만 문제를 담은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아울러 문재인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달 21일 발표한 공동성명에도 “대만해협에서의 평화와 안정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닛케이는 스가 총리가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의 회담에서 25분 대부분을 중국 문제에 할애했고, 이는 자동차 산업 등 중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독일이 공동성명에 대만을 명기하는 데 가장 큰 관문으로 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유럽의 독자 외교를 중시하는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G7 정상회의 전날인 10일 ‘미국과 제휴하지 않고, 중국의 하인도 되지 않을 것’이라고 했지만 스가 총리가 개별 회담에서 중국 문제에 대한 공동 대처를 호소하자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일본과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이와 함께 닛케이는 G7 정상회의 공동성명에 포함된 글로벌 인프라 구상인 ‘더 나은 세계 재건(Build Back Better World·B3W)’ 출범 합의와 관련, 중국의 거대 경제권 구상인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에 대한 대응책으로 미국이 당초 제시한 명칭은 ‘그린 일대일로(Green Belt & Road)’였다고 밝혔다.

이에 스가 총리가 ‘이 명칭으로는 유럽의 이해를 얻을 수 없다’고 판단해 미국과 유럽 각국과 표현을 조정, 결국 B3W로 결정됐다고 이 신문은 설명했다.

닛케이는 미·일 정부의 대중 억제 공조는 중국도 참석해 오는 10월 30일부터 이틀 일정으로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를 위한 포석이라고 분석했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